서울여성노동자회 평등의전화 2024년 상담사례집 발간
서울여성노동자회는 남녀고용평등강조주간을 맞이하여, 2024년 평등의전화 상담실에서 상담한 사례를 토대로 ‘2024년 상담사례집 - 일하는 여성의 권리찾기 이야기’를 발간하였다. 상담사례집에는 2024년 상담 현황, 유형별 상담사례 분석, 유형별 대응방법, 직장 내 성희롱 대응 이야기, 상담통계표 등이 담겨 있습니다.
서울여성노동자회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 709건의 상담을 진행하였고, 재상담을 제외한 신규상담 292건(무응답 제외)을 통계 분석하였다. 상담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직장 내 성희롱(53.1%), 근로조건(18.5%), 직장 내 괴롭힘(16.1%), 모성권(4.8)%), 성차별 (4.5%), 고용평등 기타(1.7%, 기타(1.4%)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
최근 3년 간 연도별 상담유형 추이를 살펴보면, 매년 직장 내 성희롱이 가장 많았는데 2024년에는 전년도 대비 16.4%P 감소하였다. 직장 내 성희롱 유형이 감소하기는 최근 5년간 처음이다. 정부의 고용평등상담실 폐지로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 심리상담 등 지원이 어려워지면서 밀착상담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.
연령별 상담유형을 살펴보면 20대에서 40대까지는 직장 내 성희롱 상담이 가장 많았고, 50대는 직장 내 괴롭힘 비중이 높았다. ‘20-24세’ 90.9%(10건), ‘25-29세’ 64.3%(18건)이고, ‘30-34세’ 58.3%(21건)로, ‘40-49세’ 65.8%로 직장 내 성희롱 상담 비율이 50%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.

자세한 내용은 아래 상담 사례집을 다운받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서울여성노동자회 평등의전화 2024년 상담사례집 발간
서울여성노동자회는 남녀고용평등강조주간을 맞이하여, 2024년 평등의전화 상담실에서 상담한 사례를 토대로 ‘2024년 상담사례집 - 일하는 여성의 권리찾기 이야기’를 발간하였다. 상담사례집에는 2024년 상담 현황, 유형별 상담사례 분석, 유형별 대응방법, 직장 내 성희롱 대응 이야기, 상담통계표 등이 담겨 있습니다.
서울여성노동자회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총 709건의 상담을 진행하였고, 재상담을 제외한 신규상담 292건(무응답 제외)을 통계 분석하였다. 상담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직장 내 성희롱(53.1%), 근로조건(18.5%), 직장 내 괴롭힘(16.1%), 모성권(4.8)%), 성차별 (4.5%), 고용평등 기타(1.7%, 기타(1.4%)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
최근 3년 간 연도별 상담유형 추이를 살펴보면, 매년 직장 내 성희롱이 가장 많았는데 2024년에는 전년도 대비 16.4%P 감소하였다. 직장 내 성희롱 유형이 감소하기는 최근 5년간 처음이다. 정부의 고용평등상담실 폐지로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 심리상담 등 지원이 어려워지면서 밀착상담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.
연령별 상담유형을 살펴보면 20대에서 40대까지는 직장 내 성희롱 상담이 가장 많았고, 50대는 직장 내 괴롭힘 비중이 높았다. ‘20-24세’ 90.9%(10건), ‘25-29세’ 64.3%(18건)이고, ‘30-34세’ 58.3%(21건)로, ‘40-49세’ 65.8%로 직장 내 성희롱 상담 비율이 50%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 상담 사례집을 다운받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