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 텔레그램 | X트위터 | 인스타그램 | 유튜브 | 리틀리 |
수 신 | 각 언론사 정치부·사회부 담당 |
발 신 | 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 (담당 : 언론대응팀 김희순⋅최은아⋅정진희) |
제 목 | [보도협조요청]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 |
날 짜 | 2025-01-06 (총 2 쪽) |
보 도 협 조 요 청 |
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 1. 7. (화) 10:00, 헌법재판소 앞 |
1. 취지와 목적
현재 윤석열의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 사건이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에 회부되어 심리 중입니다.
이에 더해 내일(1/7), <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>은 윤석열의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으로 인한 피해자들을 청구인으로 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합니다. 비상계엄 및 포고령에 의해 체포 및 처벌 대상이 된 사람들, 계엄해제를 위해 국회를 지킨 보좌관, 언론인, 전공의 등 보다 직접적인 피해자들이 청구인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합니다.
아직 비상계엄 및 포고령이 국회에서 해제결의가 되었지만, 사법적으로 평가되거나 종결된 것이 아니고, 탄핵심판의 선결적으로 판단해야 할 핵심 쟁점이기도 합니다.
<윤석열 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>은 내일(1/7) 청구에 앞서 헌법재판소 앞에서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위헌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.
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및 포고령 때문에 발생한 수많은 피해자들의 기본권 침해에 엄중히 위헌을 결정해야 합니다.
한편 지난 12월 4일,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헌법소원을 청구하며, 비상계엄과 포고령 자체에 대해 위헌을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습니다.
2. 개요
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
일시 장소 : 1월 7일(화) 오전 10시 / 헌법재판소 앞
주최 : 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
진행 순서
헌법소원심판청구 이유
비상계엄과 포고령의 위헌성
청구인 발언
공동대표 발언
문의 : 서채완 공동상황실장(010-4150-4347)
3. 귀 언론사의 취재와 보도를 요청합니다. 끝.
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
텔레그램 | X트위터 | 인스타그램 | 유튜브 | 리틀리
수 신
각 언론사 정치부·사회부 담당
발 신
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 (담당 : 언론대응팀 김희순⋅최은아⋅정진희)
제 목
[보도협조요청]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
날 짜
2025-01-06 (총 2 쪽)
보 도 협 조 요 청
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
1. 7. (화) 10:00, 헌법재판소 앞
1. 취지와 목적
현재 윤석열의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 사건이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에 회부되어 심리 중입니다.
이에 더해 내일(1/7), <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>은 윤석열의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으로 인한 피해자들을 청구인으로 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합니다. 비상계엄 및 포고령에 의해 체포 및 처벌 대상이 된 사람들, 계엄해제를 위해 국회를 지킨 보좌관, 언론인, 전공의 등 보다 직접적인 피해자들이 청구인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합니다.
아직 비상계엄 및 포고령이 국회에서 해제결의가 되었지만, 사법적으로 평가되거나 종결된 것이 아니고, 탄핵심판의 선결적으로 판단해야 할 핵심 쟁점이기도 합니다.
<윤석열 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>은 내일(1/7) 청구에 앞서 헌법재판소 앞에서 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위헌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.
헌법재판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및 포고령 때문에 발생한 수많은 피해자들의 기본권 침해에 엄중히 위헌을 결정해야 합니다.
한편 지난 12월 4일,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헌법소원을 청구하며, 비상계엄과 포고령 자체에 대해 위헌을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습니다.
2. 개요
12.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기자회견
일시 장소 : 1월 7일(화) 오전 10시 / 헌법재판소 앞
주최 : 윤석열즉각퇴진·사회대개혁 비상행동
진행 순서
헌법소원심판청구 이유
비상계엄과 포고령의 위헌성
청구인 발언
공동대표 발언
문의 : 서채완 공동상황실장(010-4150-4347)
3. 귀 언론사의 취재와 보도를 요청합니다. 끝.